코로나19가 ICT 업계에 미친 영향 분석...(3) 통신 및 기타 ICT 산업에의 영향
상태바
코로나19가 ICT 업계에 미친 영향 분석...(3) 통신 및 기타 ICT 산업에의 영향
  • 김상일 기자
  • 승인 2020.03.31 16:5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이동통신 서비스, 공공재 성격 더욱 장도돼
ICT 업체들, 제조지 다원화 통한 ‘脫중국’ 추진 가능성도 존재
출처: Pixabay
출처: Pixabay

[애틀러스리뷰] 코로나19가 확산하면서 국내에 거주하는 이동통신 서비스 가입자들은 하루에도 몇 번씩 긴급재난문자 알림을 받는다. CBS(Cell Broadcasting Service)를 통해 제공되는 긴급재난문자는 일부 외산 휴대폰을 제외한 사실상 국내 유통되는 대부분의 휴대폰에서 수신이 가능하다.

휴대폰이 필수품이 된 현시점에서 재난 상황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고 미리 대비할 수 있도록 한다는 점을 살펴볼 때 긍정적인 역할이 더욱 크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본지는 더욱 커지는 통신사의 사회적 역할과 제조업의 탈중국 가능성에 대해 짚어본다.

 

이동통신 서비스, 사회적 인프라 역할로 자리매김

지난 2월 초 중국 이통사인 차이나 모바일(China Mobile)은 코로나19 바이러스 발병 근원지로 주민 이동이 통제된 후베이성에서 10일 동안만 이용할 수 있는 데이터 요금제를 출시한다고 발표했다.

이 요금제는 후베이 지역 가입자에게 10위안으로 신청일 기준 10일간 이용이 가능한 10GB의 데이터 한도를 제공한다. 시간이 지나면 자동으로 해지되어 별도의 해지 신청을 할 필요가 없다.

앞서 언급된 긴급재난문자나 차이나 모바일이 해당 지역 거주민을 대상으로 한시적인 저가 데이터 요금제를 출시한 것은 이동통신 서비스의 ‘공공재’적인 성격을 잘 보여준다. 모바일 인터넷이 핵심적인 커뮤니케이션 채널이자 핵심적인 사회적 인프라로 자리 잡고 있다는 것을 입증했다고 볼 수 있다.

물론, 모바일 서비스만이 공공재 역할을 하는 것은 아니다. 유선 브로드밴드 서비스 역시 공공재로서 이미 큰 역할을 하고 있다. 이와 관련해 코로나19가 본격적으로 확산하기 시작한 미국의 경우, FCC는 유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공공재’의 관점에서 바라보고 통신사업자들에게 적극적인 협조를 요청하고 있다. 이에 AT&T, 버라이즌(Verizon), 차터(Charter), 컴캐스트(Comcast), 콕스(Cox), T-Mobile, 스프린트(Sprint) 등 대부분의 통신사업자가 동참하고 있다.

 

출처: Pixabay
출처: Pixabay

 

이통사 가입자 이동경로, 다양한 공공서비스 추진 가능

이통사들은 가입자 위치를 비교적 정확히 추적할 수 있다는 점에서 전염병을 파악하고 예방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2017년 2월 개최된 MWC 2017에서 국내 SKT와 KT를 포함해 도코모(Docomo), KDDI, 바티 에어텔(Bharti Airtel), 도이치텔레콤(DT), 허치슨(Hutchison), 오렌지(Orange), 보다폰(Vodafone) 등 전 세계 16개 이통사가 참여하는 ‘Big Data for Social Good’ 이니셔티브의 런칭이 발표된 바 있다.

해당 이니셔티브가 중점을 두는 것은 전염병이나 자연재해 등을 분석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의료기관은 이통사들이 제공하는 감염자의 이동 경로 등을 통해 전염병 예방 등의 작업을 할 수 있게 된다. 가입자 위치를 추적할 수 있다는 점은 확진자의 이동 경로를 상세히 제공한 국내 사례에서 그 효과를 잘 알 수 있다. 인권침해가 될 수 있다는 주장도 있지만, 공공의 안전을 위한다는 점에서 더 큰 의미를 지닐 수 있다.

이통사를 통한 이동 경로 제공은 인구의 이동 경로도 파악이 가능하다. 전염병과 같은 비상사태뿐 아니라 상권분석은 물론 여러 공공서비스의 설계에서도 중요한 자료가 될 수 있다.

요일과 시간대, 가입자 성별과 연령대 등에 따른 인구의 이동 경로를 파악함으로써 공공시설 구축, 대중교통 노선 개발 등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것이다. 일본의 경우 이를 활용해 자연재해 시 대피할 수 있는 경로를 설정하기도 한다.

5G의 경우 고주파 대역을 사용하기 때문에 기존 이동통신 기술에 비해 더 많은 기지국을 설치해야 한다. 이는 역으로 보다 정교한 이용자 위치 추적이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5G 시대를 맞아 이통사들의 역할이 더 커질 수 있음을 말해주는 것이다. 다만, 프라이버시 침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방안은 사전에 더 고민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출처: 삼성
출처: 삼성

ICT 단말 업체들의 ‘탈중국’ 가능성 높아져...스마트 팩토리 적용은 증가 전망

현재 스마트폰과 PC 등의 주요 단말 시장이 축소될 것으로 예상되는 원인 중 하나는 중국이 최대 공장이기 때문이다. 이번 코로나19 사태를 계기로 주요 업체들이 제조시설에 대한 ‘脫중국’ 고민을 시작할 가능성은 충분하다.

제조지를 옮기는 것은 단기간에 진행할 수 있는 것은 아니며, 조립 공장뿐 아니라 부품의 원활한 수급 여부, 주요 판매 시장과의 관계 등 다양한 변수가 복합적으로 얽혀 있는 문제로 쉽게 결정할 수 있는 사안은 아니다.

물론, 기존 공급사슬이 확립된 지역을 벗어나는 것이 결코 쉬운 일은 아니다. 그러나 제조공장의 다원화에 대한 고민이 본격화될 수 있다. 특정 지역에서 발생할 수 있는 리스크의 여파를 최소화하는 것이다. 단, 이 경우 공장의 다원화에 따른 전체 비용이 그렇게 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수익보다 커야 함은 당연하다.

이런 측면에서 본다면 향후 단순히 저렴한 인건비를 찾아 공장을 옮기는 것이 아니라 무인화와 자동화를 강조하면서 최대 효율을 보일 수 있는 스마트 팩토리에 대한 관심이 더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스마트 팩토리는 4차 산업혁명의 핵심적인 부문으로 IoT, 인공지능, 빅데이터, 3D 프린팅 등 수많은 기술 및 산업과 서로 긴밀히 영향을 주면서 시너지 효과를 발휘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전통적인 제조사들은 물론 주요 ICT 업체들과 통신사업자들에 이르는 수많은 업체가 스마트 팩토리와 관련된 다양한 솔루션을 개발하고 긴밀히 협조하고 있다.

공급 사슬의 다변화와 스마트 팩토리 도입 등 산업계 전반에서 벌어질 변화들은 올해를 시작으로 장기간에 걸쳐 점진적으로 추진될 가능성이 높다. 이미 여러 기업이 이에 대한 고민을 시작한 가운데, 코로나19 바이러스는 이런 움직임을 본격화하는 계기로 작용하고 있는 모습이다.


당신만 안 본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